목록언어 (25)
DevYoon
Java 아스키코드 1️⃣ 아스키코드 파이썬에서는 ord()와 chr() 메서드를 통해 아스키코드를 활용했는데, 자바는 조금 다르다. *️⃣ 문자 ➡️ 아스키코드 int 변수명 = '알파벳';*️⃣ 아스키코드 ➡️ 문자 char 변수명 = (char)아스키코드 값;
Java 문자열에 문자 추가 및 삭제 1️⃣ 문자열에 문자 추가 및 삭제하기 자바에서는 문자열에 바로 문자를 추가할 수 없어서,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주어야 한다. 1) String ➡️ Array 전환 2) Array ➡️ ArrayList 전환 Array는 크기가 정해져있기 때문에, 원소를 삭제하거나 추가할 때는 ArrayList로 변환해주어야 한다. *️⃣ Array ➡️ ArrayList ArrayList 변수명 = new ArrayList(Arrays.asList(변환할 배열명)); ex) ArrayList arrlist = new ArrayList(Arrays.asList(arr)); *️⃣ ArrayList에 값 추가하기 ArrayList.add(위치, '..
Java 문자열과 배열의 변환 1️⃣ 문자열 ➡️ 배열 변환 파이썬에서는 당연하게 썼던 문자열 인덱싱이 자바는 되지 않는다...🥲 자바에서는 문자열을 배열로 변환한 다음 인덱스로 접근해야 한다. *️⃣ String.split() word = "Hello World"; String[] wordarr = word.split(""); 2️⃣ 배열 ➡️ 문자열 변환 배열 안의 원소들이 문자열일 때 String 변수명 = String.join("구분자", 배열명);
Java 객체지향 1️⃣ 인스턴스 생성 클래스명 변수명 = new 클래스명();2️⃣ 인스턴스 접근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➡️ 인스턴스 변수 사용해서만 가능 class Print{ public String delimiter = ""; public void A(){ ~~~~~~~ } } Public class Main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, args){ Print p2 = new Print(); p2.A(); } } 2️⃣ static 변수나 메소드 앞에 static ➡️ 클래스 소속 변수 static을 제거하고 인스턴스 소속으로 만들면 클래스에서 접근이 불가능 class Foo{ public static String classVar = "I class var"; pu..
HTML 수정 {% if user in article.like_users.all %} {% else %} {% endif %} {{ article.like_users.all|length }} 명이 이 글을 좋아합니다. Script form을 통해 넘겨주던 POST 요청을 axios를 이용해 넘겨주었다. addEventListener로 i태그의 하트를 클릭하면 POST 요청이 갈 수 있게 해주었고, 요청이 성공하면 좋아요 수, 하트 색상 등을 조정해주었다. View @require_POST def likes(request, article_pk): # CODE HERE if request.user.is_authenticated: article = get_object_or_404(Article, pk=arti..
this 1️⃣ this의 정의 자기 참조 변수 2️⃣ this의 목적 객체 에서 내 가 프로퍼티나 메서드 참조 3️⃣ 호출 1️⃣ 일반 함수로 호출 function callthis(){ return this } ➡️ this는 전역객체(window) 2️⃣ 메서드로 호출 const obj = { callobj: function(){ console.log(this) } } ➡️ this는 해당 메서드를 보유한 객체, 객체.메서드() 3️⃣ 생성자 함수로 호출 function Teacher(name){ this.name = name // 미래에 생성될 인스턴스의 name 프로퍼티에 바인딩 } const test = new Teacher('이름') ➡️ this는 미래에 생성될 인스턴스
Java 제어문 1️⃣ 조건문 if (조건){ 실행될 구문 } else if { 실행될 구문 } else { 실행될 구문 }2️⃣ 비교연산자(==과 equals의 차이점) 원시 데이터 타입은 == 사용해서 비교 원시 데이터가 아닌 것은 equals 사용해서 비교 // 원시 데이터 타입 => == int p1 = 1; int p2 = 1; System.out.println(p1==p2); // true String o3 = "Java2"; String o4 = "Java2"; System.out.println(o3==o4); // true // 원시 데이터 타입이 아닌 것 => equals String o1 = "java"; String o2 = new String "java"; System.out.pri..
연산자 1️⃣ 산술연산자 이항 연산자 +, -, *, /, % 단항 연산자 ++, -- a++; ➡️ 앞의 식을 처리한 다음 1을 증가시켜라 ++a; ➡️ 1을 증가시킨 다음에 식을 처리해라 대입 연산자 =, +=, -=, *=, /=, %= 예시 1) 3/4 = 0 2) a = 10; b = a++; → b = a → a += 1 ∴ a = 11, b = 10 c = ++a; → a += 1 → c = a ∴ a = 12, c = 12 3) a = 10; a += 10; ∴ a = 20; 예시 #include void main(){ int a, b; a = 4*(1/2); b = a++; printf("%d", b) } ∴ 1 (a = 4*0) 예시 y = 3+2*(x=7/2) ∴ x = 6, y = ..
변수 변수 생성 규칙 예약어 사용 불가 공백 포함 불가 첫 글자는 언더바(_)와 영문자만 사용 가능 대소문자 구분 특수문자는 언더바(_) 외에 사용 불가능 변수의 종류 1) 지역변수 함수나 블록 안에서 선언하는 변수 함수/블록의 종료와 함께 메모리상에서 소멸 초기값이 없으면 쓰레기 값이 들어감 스택 영역에 저장됨 2) 전역변수 함수 블록 밖에서 선언하며 전체 함수에 영향을 미침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메모리상에서 소멸 초기값이 없으면 0이 들어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됨 정적변수 static으로 선언하며 선언된 블록 내에서만 사용 가능 함수가 종료되어도 소멸되지 않고, 값이 그대로 유지됨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메모리상에서 소멸 초기값이 없으면 0이 입력되고, 단 한번만 초기화 데이터 영역에 저장됨 동적변수 메..

자바 공부 시작하면서 이클립스를 설치했는데, 콘솔에서 한글이 막 #$?@! 이런 식으로 깨져서 나왔다ㅠㅠ 구글링 해서 찾은 방법이 다 통하지 않았는데, 다행히 해결법을 찾아 해결했다. 1️⃣ 상단 메뉴에서 RUN ➡️ Run Contigurations를 클릭한다. 2️⃣ 이미지에 표시된 >> 화살표를 클릭하면 Common과 Prototype이 뜨는데, Common을 클릭한다. 3️⃣ Common 창에서 이미지에 표시된 Other을 클릭해 값을 EUC-KR로 바꿔준다. 그럼 이제 자바 콘솔창이 한글도 깨짐없이 잘 출력해준다👍